Stay hungry

www.utsandiego.com/news/2014/aug/05/tp-shoppers-sold-on-reselling/

UTSD에 나온 기사중 흥미있는 내용이 있다.

Shoppers Sold on reselling

미국에서도 명품은 사기가 만만한 가격이 아닌데 이런 명품중 중고를 전문적으로 파는 사이트이다.

아마 조만간 우리나라에서 급 인기가 급증할듯…

clip_image002

clip_image002[5]

Portero

image

TheRealReal

image

Thredup

 

과연 소비자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ebay와 amazon 역시 중고판매가 있지만 ebay는 너무나 많은 걸 팔고 또 개인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이러한 명품들을 구입하기에는 좀 리스크가 있을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회사들은 자기들이 직접구매한 제품을 살펴보고 다시 새것과 같이 클리닝한다음 파는 것이라서 소비자 입장에선 믿고 살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여전히 중고차를 사고 팔때처럼 그런 기분은 있겠지… 좀더 다른 비지니스 모델이 필요할것 같다.

'Fur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on Musk  (1) 2013.08.14

Elon Musk

Furture2013. 8. 14. 08:13

http://www.cnn.com/video/data/2.0/video/us/2013/08/13/erin-quest-hyprerloop-unveiled.cnn.html

샌프란에서 LA까지 35분에 이동할수 있는 차세대 이동수단에 대해 어제 미국 언론에서 뜨겁게 나온 뉴스이다. 관심있게 보다보니 이런 생각을 할수 있다는것과 뭐가 기존의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 신선함을 받았다.

우리도 몇년전부터 고속전철이라는 것을 상용화 해서 운행하고 있지만, 프랑스의 기술을 받은것이고,

현재 가장 빠른 이동단이라고 하는건 현재까지

1. Shaghai Maglev Train, China

$1.2 billion up to 311 mph

2. China Railway CRH380A, China

Up to 302mph

3.Trasrapid TR-09, Germany

Up to 279 mph

4.Shinkansen Train, Japan

Up to 275 mph

5.TGV Reseau, France

up to 236 mph

근데 이 제안을 한 사람이 Elon Musk라는 사람이다. 좀 생소한 이름인데 이미 영화 아이언맨의 실제 모델로 유명한 분이다. 영화 아이언맨에서 토니 스타크는 천재적인 두뇌로 돈을 버는 40대 억만장자로 나온다.

[취재파일] 항공기보다 7배 빠른 열차? 관련 이미지

 

Elon Musk(http://en.wikipedia.org/wiki/Elon_Musk)는 1971년생(나보다 3살 많군 –Winking smile ) 남아공 출신이다. Space X, Tesla Motors, Paypa의 창업자이고, 현재는 Space X, Tesla, SolarCity의 CEO이다.

Wharton school에서 economics를 공부하고 University of Pennsylvania 에서  physics 학사를 받는다.그리고 Stanford에서 applied physic 박사과정을 하게 되나. 중간에 그만두고, "important problems that would most affect the future of humanity"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세가지 분야에 뛰어 들기로 한다.

“One was the Internet, one was clean energy, and one was space." 음 스케일이 다르군…

근데 어떻게 이렇게 누구처럼 회장님 아들도 아닌 사람이 지금의 회사를 만들게 되었는지 보면

1. 스탠퍼드 95년도에 입학, 'Zip2'라는 온라인 콘텐츠 출판 소프트웨어 회사를 설립

2. 1999년 알타비스타가 이 회사를 현금 3억700만 달러와 3400만 달러어치 주식을 주고 인수

3. 1999년 3월 그는 'X.com' 이라는 새로운 회사를 설립

4. 이 회사가 페이팔(PayPal). 이베이는 엘론 머스크를 설득해서 2002년 10월 이베이의 주식 15억 달러 상당을 주고 페이팔을 인수

5. 2002년 6월 엘론 머스크는 스페이스 엑스(Space X)라는 세 번째 회사를 창업.

6. 스페이스 엑스가 처음으로 시작한 일은 로켓을 개발하고 제작하는거. 실제 개발한 드래곤 우주선을 국제우주정거장인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 왕복에 이용하는 16억 달러 상당의 계약을 맺는 데 성공

7. 앞으로 자동차는 전기의 힘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라는 굳은 믿음을 가지고 현재 세계에서 가장 주목되는 회사인 테슬라 모터스(Tesla Motors)를 2004년 설립. 테슬라는 이미 세계를 대표하는 전기자동차 사로 성장.

최근 Tesla의 경우 주식 시장에서 좀 Hot하게 뉴스가 나오는데..미국에서는 그래도 심심찮게 굴러 다니는 Tesla자동차를 볼수 있다. 실제 여기 근처의 UTC의 Tesla매장을 가본적이 있는데 그냥 apple shop처럼 심플하게 그리고 직접 체험해보게 잘 만들어져 있었다. 차 앞에 보통은 복잡한 엔진이 있었야 하는 곳에 그냥 텅 비어 있어 좀 쇼킹했었다.

실제 전기 자동차를 누구나 미래의 자동차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기존의 자동차 회사가 기존의 프레임을 버리고 전기 자동차로 가는건 시간이 걸린다. 언제나 그랬다. Apple이 iPhone을 만들때도 기존의  Nokia나 Samsung이 시작한것이 아니라 전혀 휴대폰을 만들지 않았던 Apple이 만든것이다.

어떻게 보면 요즘과 같이 기술과 통신이 발달한 시대에는 예전과 다르게 사람들이 예상하는것보다 그 변화의 속도가 훨씬 빠른것 같다. 누가 그런 생각을 구현하고 소비자에게 그 가치를 줄수 있는지가 중요한것 같다.

http://static1.businessinsider.com/image/51a52146ecad04177c000000-960/sai-cotd-052813.jpg

올해 초부터 해서 지금 3배정도 (300%) 오른 주식 누구는 이 주식으로 돈을 번 사람이 있겠지만, Elon Musk는 자기가 생각한대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을 하고 또 이를 실현해서 돈을 벌고 있다. 이번에  Hyper Loop도 보면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오지만(실현가능하냐, 안전하냐) 결국 이 세상은 자기가 믿는것을 실행하는 사람의 의지대로 움직여 왔다.

 

 

Smartphone이 있었지만 실제로 Smartphone의 붐을 일으킨 Apple.

전기차가 있었지만 새로운 전기차를 만든 Tesla,

검색엔진이 있었지만 현재의 Google세상을 만든 Google,

항상 세상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Fur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 중고 온라인 판매  (0) 2014.08.07

USA today에 난 기사 "It's an app world, and it could swallow all computing" 를 읽다 보니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것 보다 더 큰 변화가 앞으로 생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http://www.usatoday.com/tech/products/2010-03-31-1Aappworld31_CV_N.htm

사람들은
자유롭기 원하고 알고 싶어한다. 생존 본능이라고 할까? 전자공학과 컴퓨터 사이언스의 발전으로 정보의 속도는 빛의 속도로 빨라졌고 광범위 졌다. WWW 시작되는 browsing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해 주었고 사람들은 이상 종이로된 신문이나 잡지의 정보보다 정보를 쉽게 찾을수 있는 곳에 모이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사람이 모이는 곳이 문화나 돈이 모이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기존의 매체들의 수익은 점점 줄고 이러한 이익은 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알려주는 곳으로 이동했다. 사람들은 PC앞에 앉아서 computer 부팅하고 인터넷을 연결하면서 열광하였다.

Ad spending 2009 vs. 2008 SAI chart

휴대폰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다른 자유를 얻기 시작했다. 이동중에 통화가 가능하게 된것이다. 기존엔 어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통화 하던 것이 이동중에 통화가 가능하게 된것이다. 자유(freedom) 무언가를 알고 싶어하는(information) 욕구가 얼마나 큰것인지 다시 한번 확인할수 있다. PC 인터넷에서 얻었던 information 휴대폰이 주는 자유가 smart phone으로 다시 breakthrough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smart phone으로 하는 것이 기존의 PC에서 하는 것을 모방해서 기존의 email 확인하고 web browsing 하는 정도 였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Apple 의도했는지 의도 하지 않았는지 사람들에게 재미있고 익숙한 터치라는 그것도 멀티 터치라는 기술과 함께 application이라는 것을 들고 나왔다. 아이폰의 등장이다.


아이폰의 등장은 여러가지를 융합하고 있다. 단순히 본다면 MP3 player 되고 인터넷이 되는 정도이다.

하지만 단순한 MP3 player 아니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MP3 player이고 iTunes 통해 모든 contents 쉽게 다운로드 있게 놓았다. 음악뿐만 아니라 TV program 영화 그리고 개인방송(podcast) 대학 강의 등등..

 

여기에 다양한 사람들이 자기의 아이디어로 application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올리고 이것을 사람들이 다운받게 놓았다. 물론 돈도 있다.

 

PC에서도 application 이라는 것이 SW(program) 될텐데, 모바일에서 프로그램은 PC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것을 있게 준다.

 

가량 어디 가다가 음악이 나오는데 음악이 뭔지 알고 싶다면 iPhone에서 음악을 찾아주는 application을 실행하면 된다. 마트에서 가격을 비교하고 싶으면 iPhone에서 가격비교 하는 application을 실행하고 barcode 스캔하면 인터넷 최저가를 알려준다.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의 모일수 있게 장을 만들어 준게 Apple 아이폰의 가장 성공인것 같다. 

 

아이패드(iPAD) 나온다. 아이패드가 있는 뭘까? 들고 다니기엔 애매하고 아이폰하고 차이점은 크게 없어 보인다. 하지만 아이폰에서 하기 답답한 화면을 제공하고 아이폰이 가진 멀티 터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PC 노트북과 다르게 필요가 없다. 노트북의 가장 단점은 할려면 불편하다 커야 되고 기다려야 되고 마우스도 있어야 하고 없으면 불편하고

 

상상을 본다. 아이패드가 있다면 책을 보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손가를 댄다 그러면 바로 wikipedia 검색하고 -이것 조차도 사람들이 모여서 만들어 놓은 정보 아닌가!! 그림을 누르면 동영상으로 변하고, 사진을 볼때도 손으로 이리저리 넘겨 본다. 얼마나 편리할지 상상이 안된다.

 

어른들에게 PC 알려 드릴때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 문제다. 컴퓨터를 키시고 e 처럼 생긴 녀석을 누르시고 그럼 녹색 네이버가 나오죠 여기서 검색하시면 되고요

마우스로 내리시고 사진을 보실려면...등등..

 

아이패드로는 그냥 들고 사진을 손으로 찍으시면 되고요. 크게 보시고 싶으시면 손가락 두개로 확대하시면 되고요. 검색하시고 싶으시면..등등...

 

그리고 하나 아이폰을 쓰다 보면 전용 앱이라는 것이 있어서 네이버나 구글에서 얻던 정보를 다시 신문사나 잡지에서 바로 얻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아마 어른들이 조선일보를 계속 보시는 이유와 비슷할 것이다.

네이버를 보면 내가 보고 싶지 않은 기사가 너무 많다. 특히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기사들...차라리 그냥 한겨례나 내가 보고 싶은 신문사의 기사를 보게 된다. 제목이 아니라 진짜 신문처럼..  한눈에 보고 관심있는 기사를 보고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보고..등등.. 따라서 신문사의 역량 (Nytimes 인터넷 판을 보면 iPAD에서 신문의 방향을 볼수 있는것 같다) 얼마나 중요해 질까 하는 생각을 한다.기존의 old media들이 다시 힘을 발휘할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까?

 

모든 사람들을 모이게 하는 Apple 힘이 놀랍다!!

apple google chart


마지막으로 TED에 인기를 모았던 MIT의 Pranav의 Sixsenth 기술을 보면서 다시 한번 우리의 미래를 상상해 본다.

subtilte에서 Korea를 선택하면 자막이 나온다.







New MaxLinear ISDB-T 1-Seg Diversity Tuner Improves Mobile TV Reception without External Antenna

CARLSBAD, Calif. --(Business Wire)-- MaxLinear Inc., a leading provider of integrated radio frequency (RF) and mixed-signal integrated circuits for broadb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today announced the MxL751SM, its high performance single-chip diversity tuner and ISDB-T 1-Segment (1-Seg) demodulator for mobile and portable TV applications.

Most mobile TV designs have an external whip antenna to improve reception in dense urban or high-speed environments due to multipath reflections, coverage gaps and doppler effects. These external antennas are expensive, break easily, and prevent waterproofing the handset. Manufacturers have also tried to utilize a single internal antenna, but the loss of sensitivity within the device has required costly, highly complicated design workarounds.

With dual RF inputs, a diversity combiner, and 1-Seg demodulator, the MxL751SM is designed to deliver the sensitivity required to meet these challenges. Now, these portable designs can achieve improved reception using less sensitive and more cost effective dual internal antennas, which reduces system costs and failure rates. Dynamic switching between diversity and single channel modes is built into the device and all channel filtering is integrated along with providing digital carrier and timing recovery.

Measuring only 3.5mm x 3.5mm in a 44-pin WLCSP package, the MxL751SM features low power consumption through its smart diversity switching, consuming as little as 50mW. The MxL751SM supports a tuning range of 470 MHz to 806 MHz, making it appropriate for mobile devices targeted at Japanese and South American markets, including handsets, portable video devices, personal navigation devices, handheld gaming consoles and netbooks.

The MxL751SM builds on MaxLinear's MxL7002 and MxL703 tuners, and is the company's first mobile TV SoC to include an integrated demodulator.

Availability The MxL751SM will be available for sampling by key customers in the fourth quarter of 2009. Contact MaxLinear for ordering information.

About MaxLinear, Inc.

MaxLinear, Inc. is a leading provider of radio-frequency and mixed-signal semiconductor solutions for broadb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MaxLinear is located in Carlsbad, California, and its address on the Internet is www.maxlinear.com.

MaxLinear and the MaxLinear logo are trademarks of MaxLinear, Inc. Other trademarks appearing herein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http://www.tmcnet.com/usubmit/2009/12/07/4518663.htm



GCT`s GDM7024 Powers Top-Tier Korean Handset Maker`s T-DMB Phone SAN JOSE, Calif.--(Business Wire)-- GCT Semiconductor, a leading provider of highly integrated semiconductor solu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oday announced its mobile TV receiver, GDM7024, a high performance single-chip receiver with built-in DC/DC converter, specifically developed for the T-DMB market in Korea. GDM7024 offers the smallest form factor on the market, 3.8 x 3.8 mm, and smallest BOM with limited number of passive components. This solution was selected by Korea`s top-tier handset maker for a new T-DMB phone which will be released in December. GDM7024 is the first T-DMB receiver IC in the industry to integrate the DC/DC converter, therefore significantly reducing form factor and BOM. This solution enables mobile TV handset makers to save considerably on cost and produce more competitive T-DMB products with higher performance mobile TV reception. "By integrating the DC/DC converter into our T-DMB receiver, we are offering a much smaller form factor and cost reduction that will allow our customers to be more competitive on the market," commented Dr. Kyeongho "KH" Lee, President and CEO of GCT Semiconductor. "Korea`s T-DMB market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mobile TV market, and we are pleased to be selected by a top-tier Korean handset maker." Lee added, "Building on the success of S-DMB in Korea, GCT is now the only chip vendor that supplies both S-DMB and T-DMB single chip receivers to the Korean market. We will continue to advance our roadmap for Korean mobile TV solutions, with current developments under way for S/T-DMB and DMB2.0 with interactive service." About GCT Semiconductor, Inc. GCT Semiconductor is a leading fabless semiconductor company that designs, develops and markets innovative SOC devices for the mobile handset and emerging mobile wireless broadband industries.With its proven CMOS radio frequency (RF), wireless modem technology and SOC expertise, GCT provides state-of-the-art CMOS single-chip mobile WiMAX solutions, CMOS single-chip mobile TV solutions, and highly-integrated cellular CMOS RF transceivers.GCT empowers 3G and 4G mobile device manufacturers by reducing BOM cost, lowering power consumption and minimizing size.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www.gctsemi.com.

Copyright Business Wire 2009
http://www.reuters.com/article/pressRelease/idUS94379+19-Oct-2009+BW20091019
BrickArms Lewis gun and Brodie helmet prototypes
BrickArms Lewis gun and Brodie helmet prototypes by Dunechaser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대만을 대표하는 fabless company 1997년에 설립되었고 2007년인가 2008년초인가 미국의 ADI의 wireless RF part를 인수
당시 가격이 US$350 M 정도.
설립된지 10년정도에 세계 4등 fabless company. wow~ custom한 설계로 가격 경쟁력이 뛰어남
대만의 TSMC UMC등을 통해 혜택을 보고 있음.

Digitimes
 - ‎2009. 10. 22.‎

MediaTek will roll out mobile TV solutions supporting the DVB-H and DVB-T standards in 2010, according to market sources. The designer is also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hip solutions compliant with China's CMMB mobile TV standard.

Market sources have speculated that MediaTek may partner with ALi to march into the mobile TV market. However, MediaTek tends to develop in-house solutions, while ALi plans to add mobile TV function in digital multimedia player products to differentiate from MediaTek's target markets, the sources added.

http://www.digitimes.com/news/a20091022PD215.html

Chaos reigns in Top20 Semiconductor Company Ranking

The global recession and subsequent inventory corrections in the electronic system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have caused a major shakeup in the 1Q09 Top20 semiconductor company ranking. The IC Insights’ May Update to The McClean Report states that the volatility in the ranking is forecast to continue in 2Q09.


Climbers:
Qualcomm — The world’s largest fabless IC supplier, which focuses on leading-edge cellphone devices, moved from being ranked 8th in 2008 to 6th in 1Q09. IC Insights anticipates increasingly positive news for Qualcomm as high-end cellphone (e.g., smartphone) sales pick up speed throughout 2009. AMD — Jumped into the Top10 group, moving up three spots from 12th in 2008 to 9th in 1Q09. However, AMD is one of the few top semiconductor companies that has stated it expects 2Q09 sales to be worse than in 1Q09. How long will it stay in the Top10?

MediaTek — High-flying fabless IC supplier MediaTek joined the Top20 ranking by jumping five positions. In fact, MediaTek was the only Top20 semiconductor supplier to register a 1Q09/4Q08 sequential sales increase, a whopping 16% surge! The company attributed part of its success to the "stay-at-home-economy" driving digital TV IC sales as well as continued strength in its core wireless communications business.

Decenders:
TSMC — The largest foundry in the world dropped six positions in the 1Q09 ranking but managed to stay in the Top10. It is well known that fabless IC suppliers are some of the worst offenders with regard to IC inventory builds and burns. With fabless companies representing the bulk of TSMC’s sales, the company has been caught in a hellacious two-quarter inventory burn period (4Q08 and 1Q09), with 1Q09 sales 57% less than were registered in 3Q08!

However, the anticipated recovery in TSMC’s sales will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bounds witnessed in the IC industry this year. Using current exchange rates, it is expected that TSMC’s 2Q09 sales will be about $2.2 billion, a sequential increase of 89%! Moreover, IC Insights believes that if this level of sales is achieved next quarter, it would serve to rank TSMC as the third largest semiconductor supplier in the world in 2Q09!

NXP and Nvidia — These two companies fell out of the Top20 ranking in 1Q09, with NXP falling from being ranked 15th in 2008 to 21st in 1Q09 and Nvidia dropping from 20th to 22nd. However, IC Insights
expects a significant rebound in both of these companies’ sales in 2Q09, maybe even enough to put them back into the Top20!

http://www.evertiq.com/news/14176


Samsung unveils 65nm mobile TV receiver for CMMB

Oct 6, 2009 5:02 PM

Samsung's S3C4F71 system-on-a-chip combines a zero-IF CMOS RF tuner, a supporting UHF and S-band frequency range and a CMMB-compliant baseband channel decoder.

Samsung's S3C4F71 system-on-a-chip combines a zero-IF CMOS RF tuner, a supporting UHF and S-band frequency range and a CMMB-compliant baseband channel decoder.

At the Samsung Mobile Solutions Forum, Samsung Electronics introduced a 65nm channel decoder RF system-on-chip (SoC), the S3C4F71

Compliant with China's CMMB mobile TV standard, the SoC combines — on a single die — a zero-IF CMOS RF tuner, a supporting UHF and S-band frequency range, and a CMMB-compliant baseband channel decoder with 8MHz channel bandwidth. With enough sufficient embedded memory capacity for operation, the S3C4F71 requires no external memory.

Manufactured using Samsung’s 65nm LP process technology, the SoC keeps power consumption low and footprint small. In 4:1 time-sliced reception, the S3C4F71 on average consumes 44mW. Even in continuous reception mode, it uses only 170mW. The S3C4F71 comes in a 6.5mm by 6.5mm square package to enable slim and small mobile device designs.

Samsung’s S3C4F71 also shows excellent single-frequency network performance, which allows consumers to watch seamless mobile TV even in a situation where many broadcasting stations transmit in the same frequency band and interfere with mobile TV signals.

Samsung Develops World’s First Single Chip for ATSC Mobile Digital TV

Friday, October 16th, 2009

Low cost, power efficient, single chip will be used to launch mobile broadcasting in North America

SEOUL, South Korea —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oul: 005930), a global leader in consumer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day announced that it has successfully developed the world’s first single chip compatible with the newly approved North American mobile digital TV broadcasting standard.

Samsung’s latest chip innovation combines the radio frequency (RF) and digital chip components into one single 65 nanometer (nm)-scale chip. Compared to traditional multiple-chip sets, the single chip provides makers of various mobile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car-mounted televisions and portable media players an optimal solution that is more compact, uses less power, and is more affordable.

The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has been working towards standardizing mobile digital TV broadcasting utilizing the existing digital TV broadcasting spectrum and facilities since May 2007. After a membership vote that concluded yesterday, ATSC Mobile DTV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TSC standard.

“Prior to Samsung’s technical demonstration at the 2006 NAB Show, industry experts believed that the compatibility of mobile TV broadcasting technology with the existing ATSC broadcasting system was not possible. In early 2005, Samsung Electronics decided to apply significant resources to ATSC standardization,” said Mr. Byung Duck Cho, executive vice president of the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s R&D Center of Samsung Electronics. “Samsung succeeded in ATSC Mobile DTV standardization through its dedication and support in cooperation with the ATSC, broadcasters, and other electronics manufacturers. Through this collaborative accomplishment, Samsung Electronics aims to advance its leadership in the North American mobile market with mobile TV.”

Over 70 broadcast stations have announced their support of this initiative and have agreed to broadcast on a trial basis across North America by the end of 2009. The goal is to prepare for formal broadcasting tests to North American consumers beginning in early 2010.

ATSC Mobile DTV makes live mobile broadcast TV possible by installing minimal additional equipment at existing TV transmitters while utilizing the same frequencies as current terrestrial digital TV broadcasting. ATSC Mobile DTV does not influence current DTV receivers even when operating in the same channels making it in-band compatible. It is widely considered as the best solution for mobile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in North America. Through mobile broadcasting, consumers will be able to access free content such as local news, emergency alerts, weather reports and entertainment as well as premium pai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