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y hungry

이번 iPad 2는 사람들의 기대가 그냥 iPad 3로 가는 중간 단계정도로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Copycat 들이 나오는 분위기에서 Apple이 그냥 그런 제품을 만들지는 않을 거라는 기대도 많았다.

항상 그렇듯이 “one more thing”을 기다리게 하는 것도 Apple이기 때문에..

우선은 Steve Jobs의 등장이 가장 쇼킹했다. 그는 왜 나왔을까. 처음 Keynote시작에서 놓치고 싶지 않아서 나왔다고 한다. 항상 내일이 나의 마지막이라면 오늘 뭘할까를 생각한다는 Jobs의 말이 더 기억에 남는다. 그는 직접 자기가 만든 제품을 발표하고 싶었을거다. 

그리고 그의 마직막 말은 정말 왜 우리가 항상 우리 기업에 대해서 평가가 엇갈리는지 혹은 왜 우리 정치인이 꿈을 주지 못하는가에 대한 대답같다.

"This is worth repeating. It's in Apple's DNA that technology is not enough. It's tech married with the liberal arts and the humanities. Nowhere is that more true than in the post-PC products. Our competitors are looking at this like it's the next PC market. That is not the right approach to this. These are pos-PC devices that need to be easier to use than a PC, more intuitive."

 

“기술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게 애플의 DNA입니다. 기술과 인문학을 결합해야 합니다. 포스트PC 제품은 특히 그렇습니다. 경쟁사들은 이걸 보고 또다른 PC 시장을 기대합니다. 올바른 접근방식이 아닙니다. 이것은 포스트 PC 디바이스입니다. PC보다 사용하기 쉬워야 하고 직관적이어야 합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PC에서보다 더 결합돼야 합니다. 우리가 제대로 가고 있습니다.”


 

 

유출전에 스피커 구멍에 대해 사람들이 많은 실망을 했죠.

오른쪽이 실제 공개된 사진 왼쪽은 루머속의 사진. 뭔가 Apple스럽지 않다는 평가. 하지만 이번에도 역시 Apple의 디자인은 실망시키지 않았다.

스피커를 보니 iPad Teardown(http://techon.nikkeibp.co.jp/english/NEWS_EN/20100418/181945/)

에서본 스피커 구조에 대해 떠 올랐다.

항상 Apple의 디자인은 공학을 전공한 나에게 정말 많은 시스템 변수를 고려해서 많은 사람들이 협력해서 만들었다는 느낌을 가지게 합니다. 특히 iPhone4에서의 안테나와 베터리 구조는 비록 실패한 설계지만 그래도 좋은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

iPad에도 몇가지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

하나는, 스피커이고

다른 하나는 뒷면의 사과 마크입니다.

 

먼저 둿면 사진을 보면

안쪽을 보면 사과 뒤쪽이 알루미늄바디에서 전자파를 받기위해 사과마크를 이용해서 RF 칩이랑 연결했다는 ㅋㅋㅋ 알루미늄 바디도 꼭 소리가 잘 울리게 만든것 같은 아니면

좀더 분해를 해 보면 회오리 모양의 두개가 스피커이고,

 

아래쪽 구멍으로의 방향위에서 보면 두개의 길이 보인다.

 

 

아래쪽 외부 스피커 구멍뿐만 아니라 몸체 쪽으로 길게 소리가 나가게 되어 있는 걸 볼수 있다.

즉 기타처럼 몸체로 소리를 울려주는 그래서 풍부한 소리를 만들어 주는 그런 디자인이다.

 

여기서 잠깐, Glaxy tab과 비교해보고 싶은 충동에 tear down을 찾아보니

먼저 Glaxy tab

갤럭시 탭은 뭔가 전화기가 그냥 커졌다는 느낌 으로 비어있는 곳이 보인다. 그냥 베터리를 더 넣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무게에 대한 고민이 있었겠지 어차피 상대는 먼저 나온 iPad 이고 마케팅 포인트는 가볍고 작고 주머니에 들어 간다 이런거니까..

다음은 다시 iPad

iPhone과 같이 타이트하게 부품들이 들어차 있는걸 알수 있다. 앞에서 말한것 처럼 중간 메인 프레임에 RF  chip이 들어가 있고 이것은 안테나를 통해 사과 마크로 가려져 있다. 

iPad 2

이번 iPad2도 예상을 넘어 A5칩을 채택하고 (Dual core) HDMI ouput을 지원하며 또한 여기에 apple의 software 인 iMovie 거라지 밴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다 최적화하는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하드웨어 사양에 치중하지 않더라도 그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싶게 만드는 것이다. 예전에 게임을 하기 위해 PC를 업한다는 그런 말처럼…

또하나 둘다 가지고 싶지 않더라고 그 야릇한 케이스를 써보고 싶은 충동까지.

 


여기서 one more things

iPad 2 는 601g(알루미늄바디) Glaxy tab 10.1은 599g(plastic)

 

하드웨어 사양이 전부는 아니다. 단지 한줄의 Spec일뿐

애플의 다음번  Keynote가 벌써 기대된다.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me changer: Apple  (0) 2010.10.21
아이폰 컨트리락(Country Lock) 해제  (1) 2010.09.11
iPhone with mobile TV  (0) 2009.12.19

Game changer: Apple

iPhone2010. 10. 21. 19:28

image

 

2005년 10월16일에 Times에서 소개한 기사 내용이다.

Apple의 경영진들이 모여서 일하는 사진은 마치 엔지니어들이 모여서 일을 하는 것 같은 모습이다.

번역본은 http://kmug.co.kr/board/zboard.php?id=column&no=625 

 

기사 내용 중 Apple의 제품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데,

 

There are two lessons to be drawn from that story: one about collaboration, one about control. Apple employees talk incessantly about what they call "deep collaboration" or "cross-pollination" or "concurrent engineering." Essentially it means that products don't pass from team to team. There aren't discrete, sequential development stages. Instead, it's simultaneous and organic. Products get worked on in parallel by all departments at once--design, hardware, software--in endless rounds of interdisciplinary design reviews. Managers elsewhere boast about how little time they waste in meetings; Apple is big on them and proud of it. "The historical way of developing products just doesn't work when you're as ambitious as we are," says Ive, an affable, bearlike Brit. "When the challenges are that complex, you have to develop a product in a more collaborative, integrated way."
Read more: http://www.time.com/time/magazine/article/0,9171,1118384-2,00.html#ixzz12zDCaZYd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상품기획-일정잡기-스펙-블럭 나누기-모으기 이런 식으로 진행되고 엔지니어는 자기가 맡은 부분만 하면 되는 식이라면 위에서 Apple의 수석 디자이너 아이브의 말은 통합적인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것이다. 통합적인 방식이라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복잡한 것인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말 최적의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면 통합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디자인까지 모든 경계 영역이 만나는 곳에는 아이디어와 trade off 할 것들이 너무 많이 존재한다. 쉽게 생각해서 휴대폰을 만드는데 안테나를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테두리에 두면서 디자인적으로도 멋있게 만든다!!

아래 사진과 같이 아이폰4의 시작이 그렇게 되었을 것이다.

image

<http://www.nekorea.co.kr/article_view.asp?seno=6325>

 

물론 이것 때문에 수신율이 왔다 갔다 하지만, 공학적으로 보면 분명 엄청난 trade off를 한 경우이다.

엔지니어로 이러한 프로젝트에 가담한다면 뭔가 새로운 일을 하게 되는 재미와 희열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을 꼽으라면 나는 trade off와 feasibility를 engineering 감으로 빨리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Trade-off 뭔가를 희생하면서 자기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을 강조하는것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실현 가능한지를 간단한 계산과 자기의 경험으로 판단해서 진행할 수 있는것..

 

Apple은 통합적 개발을 통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디자이너까지 소통을 하면서 전체 시스템 (아이폰 또는 아이맥)의 개발을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기사를 보면,

2010년 2월에 COO인 팀쿡이 골드만 삭스와의 annul tech conference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다.

http://estima.wordpress.com/2010/02/24/%ED%9B%8C%EB%A5%AD%ED%95%9C-%EC%95%84%EC%9D%B4%EB%94%94%EC%96%B4%EC%97%90-%EB%A7%A4%EC%9D%BC%EA%B0%99%EC%9D%B4-no%EB%A5%BC-%EC%97%B0%EB%B0%9C%ED%95%98%EB%8A%94-%ED%9A%8C%EC%82%AC-%EC%95%A0%ED%94%8C/

 

“We are the most focused company that I know of or have read of or have any knowledge of. We say no to good ideas every day. We say no to great ideas in order to keep the amount of things we focus on very small in number so that we can put enormous energy behind the ones we do choose.

The table each of you are sitting at today, you could probably put every product on it that Apple makes, yet Apple’s revenue last year was $40 billion. I think any other company that could say that is an oil company. That’s not just saying yes to the right products, it’s saying no to many products that are good ideas, but just not nearly as good as the other ones.

I think this is so ingrained in our company that this hubris you talk about that happens to companies that are successful and sole role in life is to get bigger, I can tell you the management team at Apple would never let that happen. That’s not what we’re about. Small list of things to focus on.”-From 9to5Mac

 

선택과 집중을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는 것이다. 자기들이 잘 할 수 있는 것만 집중해서 세계 최고의 제품을 만든다는 것이다. 보통의 회사들은 이러한 선택과 집중을 하지 못한다. 보통의 경우 엄청나게 많은 휴대폰을 만들어서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Split하는 것이다. 아니면 인텔이나 MS처럼 자기들이 잘하는 것 하나만 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대기업의 생산성과 규모의 경제가 받침이 되면 해 볼만 하다. 하지만 그래도 너무나 손실이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독점을 하는 경우이다. 영원할 것 같지만 역사적으로 50년이상 독점한 기업들은 많지 않다. 현재 MS나 Intel도 역시 누가 뭐라고 하겠는가. 하지만 예전의 MS난 Intel 같지 않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2010 10 2일에 New York times에 나온 Steve Jobs의 기사를 보면 http://www.nytimes.com/2010/10/03/business/03digi.html?_r=1&partner=rss&emc=rss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서 쫓겨나지 않았다면 지금의 Apple은 존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즉 지금도 독재를 하지만 예전에는 정말 젊은 혈기로 실패를 모르고 지내다가 자기가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나면서 Teamwork과 empowerment를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위의 기사에 재미있는 예가 있는데. 잡스가 NEXT 시절에 중요한 비지니스파트너사의 중역들과 회의를 앞두고 회사 조경을 하는 아저씨랑 20분동안 스프링 쿨러의 방향에 대해 지시한다고 소비했다는 건 얼마나 독선적이고 자기 생각에 빠져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12년 동안 애플을 떠나 사업에 실패도 하고 고행을 하면서 자신의 단점을 고쳤다는 것이 대단한 것이다.

 

“It took 12 dispiriting years, much bruising, and perspective gained from exile. If he had instead stayed at Apple, the transformation of Apple Computer into today’s far larger Apple Inc. might never have happened.”

 

최근에 안철수 교수님이 강연한 내용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너무 도전이 되었던 말씀이다.

http://lovesera.com/tt/557?utm_source=twitterfeed&utm_medium=twitter&utm_campaign=Feed%3A+LoveseraArtOfVirtue+%28lovesera.com%3A+ART+of+VIRTUE%29&utm_content=Twitter

 

그 중에 하나가 긍정적 사고 방식의 어려움을 넘기는 방법인데 힘들때 문제점을 고치라는 것이다. 즉 하늘이 준 절호의 시간이라는 것인데 그렇다면 자기가 현재 힘들다면 그건 더 낫은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가 Pushing the Limit이라는 자기의 한계를 계속 극복하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가 가지고 있던 Reality distortion field 도 이런 통합적인 Teamwork과 자신만의 독재적인 생각으로 만들어진 것 같다. 처음에는 안개와 같이 희미하지만 같이 일하다 보면 길이 만들어 지고 자기가 생각하지 못했던 것-하지만 안개가 사라지듯 길이 나타는것이 어떤 일의 진행방향이다.

 

우리는 결과 적으로 다들 스티브 잡스와 Apple의 결과만을 놓고 부러워하거나 시기하거나 왜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하느냐고 한다. 하지만 논점은 우리는 우리만의 것을 만들어야 된다는 것이다. 또다른 Steve Jobs를 만들기보다는 또다른 누구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는 것이다.

 

Sometimes life's going to hit you in the head with a brick. Don't lose faith. I'm convinced that the only thing that kept me going was that I loved what I did. You've got to find what you love, and that is as true for work as it is for your lovers. Your work is going to fill a large part of your life, and the only way to be truly satisfied is to do what you believe is great work, and the only way to do great work is to love what you do. If you haven't found it yet, keep looking, and don't settle. As with all matters of the heart, you'll know when you find it, and like any great relationship it just gets better and better as the years roll on. So keep looking. Don't settle.

 

“때때로 삶은 당신의 머리를 벽돌로 칠때도 있습니다. 신념을 잃지 마세요. 제가 앞으로 가게끔 만들어주는 단 하나의 것은 제가 했던일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사랑하는 것을 찾으세요. 그리고 당신의 일에 대해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진실하듯이 진실하게 대하세요. 여러분의 일은 삶의 큰 부분을 채울정도로 크게 될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당신이 대단한 일이라고 믿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단한 일을 하는 단한가지 방법은 그일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만약 그런일을 찾지 못하셨다면, 계속 지켜보세요. 정착하지 마세요. 모든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런일을 찾을거라는 것을 아니까요. 그리고 어떤 큰 연관관계처럼,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좀더 좋아질 것입니다. 그래서 당신이 그런 일을 찾을 때까지 계속 지켜보세요. 정착하지 말고.”

 

대학중퇴를 한 잡스가 스탠포드에서 한 연설이다. Keep looking. Don’t settle 계속 찾아야 하는 것이다. 자기가 사랑할 일을 찾아서 ..

 

마지막으로 최근에 Bloomberg 에서 방영한 Game changer

http://www.bloomberg.com/video/63722844/

비디오이다. 자기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게임의 룰은 자기가 만들면 되는 것이다.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d 에 대해 몰랐던 사실 과 iPad2  (1) 2011.03.03
아이폰 컨트리락(Country Lock) 해제  (1) 2010.09.11
iPhone with mobile TV  (0) 2009.12.19

2010/09/07 일날 쇼 블로그(http://smartblog.show.co.kr/) 에 아이폰 country lock해제 방법에 대한 공지가 올라 왔다.
현재 해외에 있으면서 로밍으로 사용하는 사람으로 절실한 기능으로(보통 unlock after jail break을 해야 하므로) 바로 신청해 보았다.


http://smartblog.show.co.kr/249 를 보면 자세한 신청 방법이 나온다.

우선 내가 느낀건 기존의 3gs사용자도 해준다.
1. 114에 전화해서 컨트리락을 해달라고 한다.
2. 주의 사항을 다 이야기 한다. 다 알고 있다고 말한다.
3. 해제 신청을 할려면 본인이여야 한다고 한다.
4. IMEI 번호를 알려 주어야 한다. 이건 아이폰(설정>일반>정보>IMEI)에서 확인가능하다.



5. 해제 신청이 완료 되었다고 하면서 3일 내로 문자 메세지를 보내면 아이튠즈에서 동기활르 하라고 한다.
    실제로는 하루만에 문자가 왔다.

6. 락이 되었는지 어떻게 확인가능한가?
    이부분이 모호한데. 확인하는 방법은 아이튠즈에서 백업을 완료한후에 복원을 하면 알수 있다.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d 에 대해 몰랐던 사실 과 iPad2  (1) 2011.03.03
Game changer: Apple  (0) 2010.10.21
iPhone with mobile TV  (0) 2009.12.19

iPhone with mobile TV

iPhone2009. 12. 19. 05:19

일본에서는 ISDB-T라는 것이 우리나라 TDMB와 같은건데 무료로 TV를 보는 서비스이다. 얼마전에 우리나라 icube에서 TDMB 가능한 battery pack을 iPhone용으로 출시할거란걸 twitter에서 봤는데, 일본에서 이미 출시가 되었다

http://dvice.com/archives/2009/01/softbank_iphone.php

With only one day left on the 2008 calendar Softbank finally released the highly anticipated 1-Seg TV tuner and battery for the Apple iPhone. Say what you will about the iPhone's steep challenge in Japan, but Softbank has come through with one of the best Apple accessories ever to hit the market. The device looks almost exactly like the iPhone itself but feels incredibly lightweight thus allowing the add-on to fit perfectly into the high-bar aesthetic tastes of most Apple fans.

The Good: Following the tradition of Apple, setting up the Softbank device is relatively simple (except for the software, more on that later). Once you have the correct software everything is basically plug and play. The battery works fine, and even though the device takes a TV signal from the air and then transmits it via WiFi to your iPhone, the 1-Seg TV signal renders a crystal clear picture with astoundingly good sound quality. You can use your own WiFi base station, a public WiFi access point, or any of the 3500 free to use public wireless Yahoo! BB LAN points around Japan provided by Softbank. More details and full unboxing below...





이런걸 동글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얼마나 경쟁력이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실제로 아이폰이 한국에서 출시 될때도 TDMB가 되지 않느다고 점을 불편한 점으로(언론사와 대기업) 많이 부각시켰는데, 이동중에 TV를 보는것이 왜 그리 중요한가를 생각할필요가 있다. 실제로 DMB가 무료이고 기존엔 휴대폰으로 할수 있는 것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DMB가 중요했지만, 아이폰 같은 스마트폰에서는 할것이 너무 많은데 굳이 DMB를 봐야할 이유는 없을것이다. IPTV와 마찮가지로 자기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아이폰에서 searching해서 봐도 되고 아니면 충전중에 iTunes를  통해 받아 놓은 contents를 보는 것이 더 좋은것이다. 보고 싶지도 않는 프로그램을 봐야하는 TV가 일방적인 passive한 매체라고 하면 그 다음음 interactive한 능동적인 매체가 훨씬 매력적이다. 본격적으로 시작될 ebook 또한 새로운 killer application이 될것이다. 책을 볼것인가 TV를 볼것인가? 당연히 책을 볼것이다. 왜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자기가 원해서 보는것이니까?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d 에 대해 몰랐던 사실 과 iPad2  (1) 2011.03.03
Game changer: Apple  (0) 2010.10.21
아이폰 컨트리락(Country Lock) 해제  (1) 2010.09.11